1.살인의 추억 줄거리
봉준호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인 <살인의 추억>은 2003년 개봉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던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추적극 장르로, 당시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 사건은 전국적으로 대형
사건으로 떠올랐으며, 그 중심인물이었던 송강호와 김상경이 주연으로 출연하여, 이들의 연기력 또한 매우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1986년 경기도 화성에서 젊은 여인이 무참히 강간, 살해당한 사체로 발견됩니다. 2개월 후 또 한 명의 여성이 비슷한
수법의 강간살인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경찰서는 분주해집니다.
일대는 연쇄살인이라는 생소한 범죄의 공포에 휩싸입니다.
‘무당 눈깔’이란 별명의 지방 토박이 형사 박두만(송강호)은 직감에 의지해 마을의 남성들을 탐문 수사하고, 동네
양아치들을 족치며 자백을 강요하고, 서울에서 내려온 서태윤(김상경)은 ‘서류는 거짓말 안 한다’는 신조 아래 사건 서류를 꼼꼼히 검토하며 논리적인 추리를 벌입니다. 몇몇 용의자를 잡아들이지만 모두 범인과 관계없는 인물로 밝혀지고,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노선을 가진 두 형사는 사사건건 충돌하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입니다. 경찰들의 대대적인
공개수사가 벌어지는 동안에도 범인은 거듭 대담한 살인을 벌입니다.
대도시와 어울릴 것 같은 연쇄살인 사건은 한적한 시골에서 펼쳐지고, 소위 과학 수사와 육감 수사로 대변되는 듯했던
두 형사의 스타일은 희생자가 늘어갈수록 차이가 없어집니다.
이 영화의 제목인 '살인의 추억'은 영화 내용의 흐름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성폭력에 대한
복수극을 통해 얻는 짜릿함과 함께, 실제 살인 사건의 흔적을 찾아가는 추적극적인 요소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이 영화를 매우 볼만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그리고 <살인의 추억>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봉준호 감독의 연출 능력입니다. 영화의 세공술 봉준호 감독은
영화 내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매우 섬세하고 신중하게 연출하여, 이야기의 전개와 캐릭터의 감정 변화 등을 자연스럽게 보여주었습니다.
봉준호 감독의 연출은 이 영화를 좀 더 긴장감 넘치는 작품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특히나 영화 후반부에서는 실제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매우 긴장감 높은 장면들이 연출되어, 관객들은 자신도 영화 속에 직접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살인의 추억>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바로 그래픽적인 부분입니다. 이 영화는 2003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 비교하면 그래픽적인 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는 그래픽보다는 이야기와 캐릭터의 감정 변화 등에 더 집중한 연출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따라 관객들은 그래픽적인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이 영화를
매우 좋은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살인의 추억>은 대한민국 영화계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영화의 성공은 대한민국 영화의 대중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대한민국 영화계는 더욱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봉준호 감독의 연출 능력과 배우들의 연기력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살인의 추억'은
대한민국 영화의 역사를 꾸미는 작품 중 하나로, 이후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입니다.
2. 총평
<살인의 추억>은 특정한 연쇄살인을 소재로 삼았지만, 그것은 사건의 영화라기보다 풍경의 영화이며 무엇보다 시대의
공기에 관한 영화입니다. 김형구 촬영감독에 포착된 서정적이지만 처연한 들판과 하늘의 풍경이 이와시로 타로의 구슬픈 음악에 실려 인물들의 대사와 행위 사이를 가로지를 때, 우리는 이 인물들의 운명적 패배를 예감합니다.
<살인의 추억>은 또한 인물의 영화입니다. 조연들의 활약도 빛났지만, 발버둥 치지만 끝내 추락하는 두 형사 송강호와
김상경의 눈빛은 대사 없이도 자신의 운명을 단숨에 드러낼 만큼 멋진 연기를 선사합니다. 특히 우습기 짝이 없이 없는
코미디언에서 초라한 패배자로 전락하는 송강호의 멍한 눈과 굽은 등과 씰룩이는 입술은 모두 작품입니다.
봉준호 감독은 영악합니다. <살인의 추억>은 킬킬거리고 웃다가 자기도 모르게 꼼짝할 수 없는 슬픈 공기 속에 갇혀버리는 경이로운 영화입니다. 시대 상황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나, 중반 이후 배우의 감정과 행동에 원인제공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시비 걸고 싶다가도, 감독이 짜놓은 정서의 덫에 어느새 걸려듭니다.
'한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미스터리, 범죄 스릴러 영화, 소개 (0) | 2023.03.08 |
---|---|
기생충 가족 영화, 소개 (0) | 2023.02.26 |
댓글